본문 바로가기

카테고리 없음

테슬라 배터리데이에 대하여 / 2차전지 관련주(나노신소재, 천보, 에코프로, 한솔케미칼 등)

5가지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.

1) Tabless를 활용해 저항과 열발생을 낮춰 단위 셀의 크기를 46mm x 80mm 까지 키워 KWh당 원가는 -14%, 주행거리는 +16% 계획

2) 건식전극 기술(공정면적 10배 감소)과 초고속 생산장비를 활용해 KWh당 원가는 -18%, 활물질 고로딩(high loading)으로 주행거리도 증가시킬 계획

3) 실리콘 음극 첨가제 첨가와 가격인하로 KWh당 원가는 -5%, 주행거리는 +20% 증가시킬 계획

4) 코발트 제로, 하이니켈 양극재 사용으로 KWh당 원가는 -12%, 주행거리는 +4% 증가시킬 계획. 리튬 축출 방법 변경으로 조달 비용 감소 추진도 언급. 블랙파우더 재활용도 언급.

5) Cell vehicle integration으로 KWh당 원가는 -7%, 주행거리는 +14% 증 가시킬 계획

종합적으로 팩 기준 원가는 기존대비 -56%, 주행거리는 기존대비 54% 개선 계획을 발표. 또한 단위 투자비용 또한 기존대비 -69% 예상했음. 또한 위 기 술이 적용된 46800 배터리 생산능력은 2021년 10GWh, 2022년 100GWh, 2030년 3TWh 확보할 계획 언급.

결론적으로 해당 가능성 단기적으로는 낮음.

1) LG화학 기준 테슬라의 위 신기 술 로드맵과 크게 다르지 않고(LFP, 건식전극, 실리콘, 하이니켈 모두 준비/대 응중),

2) 테슬라도 2022년 이후에야 위 신기술들이 안정된 생산능력을 확보 할 것이기 때문.

2차전지 업체들에 대한 투자포인트는 하이니켈 양극재, 고함량 SiO, 고성능 전해액에 맞춰야 함.

하이니켈+단결정의 선두주자 에코프로비엠, 고함 량 SiO 선두주자 대주전자재료, 고성능 전해액 선두주자 동화기업을 2차전지 소재 탑픽으로 제시.

국내 업체 뿐 아니라 테슬라향 건식 탈철기 공급 가능성 열려있는 대보마그네틱 또한 지속적인 관심 필요.

관련주 :

네패스 / 후성 / KMH하이텍 / SK이노베이션 / 삼성SDI / 삼진엘앤디 / 알루코 /씨아이에스/ 포스코케미칼 / lg화학

천보 /나노신소재 / 에코프로 / 한솔케미칼